POSTER DESIGN FOR BLIND SIGHTED

 

Blind sighted poster series


2022


poster series design
   ┖ graphic artwork




STORY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의 무지에서 비롯된 비장애인들의 이기심과 배려없는 모면을 바탕으로 작업을 이끌어간다.

길을 걷다보면 바닥에 올록볼록한 노란색 점자 블록을 볼 수 있다. 시각 장애인들이 길을 잘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눈’과도 같은 것이다. 최근 여러 지자체에서는 오직 거리의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바닥에 깔린 점자 블록들을 없애고 있다. 우리의 사소한 불편함을 해결한다는 이유로 시각 장애인들이 혼자서도 충분히 갈 수 있는 길을 ‘10m 이동만으로도 위험한 길’로 바꾸어버린 것이다.

우리에게 편리한 세상이 시각 장애인들에게는 얼마나 불친절했는지에 대해 인지하고, 세상이 낯선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우리에게 익숙한 세상을 낯설게 바꾸어 모두 함께 살아가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작업자는 사회에서 인지해야할 시각 장애인들의 불편함을 제시하며 설득하고자 한다.

It leads the work based on the selfishness and inconsideration of non-disabled people, which originated from the ignorance of society targeting each disabled person. As you walk down the street, you can see embossed yellow braille blocks on the floor.
It is like ‘eyes’ that help visually impaired people find their way. Recently, several local governments are removing braille blocks from the floor only because they harm the 'beauty' of the street. For the reason of resolving our minor inconveniences, the road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go alone has been changed into a 'dangerous road even by moving 10m'.

We need to recognize how unkind the world convenient for us is to the blind, and prepare a plan to live together by changing the world we are familiar with to the blind, who are unfamiliar with the world. The worker tries to persuade by sugges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visually impaired to be recognized in society.





WORK IN PROGRESS


‘시력’과 연관된 여러 요소들 (안경, 지팡이, 안내견, 시력 측정 이미지, 점자 블록 등)을 활용하여 메인 주제인 ‘점자 블록’과 함께 이미지를 연출하여 낭떠러지에 있는 듯한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우리 사회의 이기심을 지적하고 그들의 권리를 보장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한다.

위에서 제시한 여러 요소들의 이미지적인 상징성을 활용하여 관찰자에게 시각 장애인들에 대한 인지와 공감을 이끌어낸다.
사회에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가장 효과적으로 담아내기 위해 다양한 표현 방식에 대해 고민한다.

Using various elements related to 'sight' (glasses, canes, guide dogs, vision measurement images, braille blocks, etc.), images are produced along with the main theme 'braille blocks' to help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seem to be on a precipice in our society. I want to tell a story that points out selfishness and guarantees their rights.

Utilizing the image symbolism of the various elements presented above, it induces awareness and empathy for the visually impaired from the observer. In order to most effectively capture the meaning we want to convey to society, we think about various ways of expression.








점차 사라져가는 점자 블록으로 인해 시각 장애인들은 도심 한복판에서 길을 잃고 위험에 처하는 일이 빈번해졌다.

점자 블록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어지는데, 선형 블록과 점형 블록으로 구분된다. 직선으로 된 도보에서는 선형 블록을 사용하고, 잠시 멈추어야 하거나 도보의 유형이 변경될 때(혹은 위험할 때) 점형 블록이 사용된다. 그러나 실제로 도보에 설치되어있는 점자 블록들이 제대로 용도에 맞춰져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시각 장애인들이 큰 불편함을 겪고 있다고 한다. 위 내용을 통해 점자 블록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이야기를 그래픽으로 풀어내고자 했다.

Due to gradually disappearing braille blocks, blind people often get lost in the middle of the city and are in danger. Braille block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linear blocks and dotted blocks. Linear blocks are used for straight walks, and point blocks are used when pauses are required or when the type of walk changes (or is dangerous). However, it is said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are experiencing great inconvenience in many cases where braille blocks actually installed on the sidewalk are not properly tailored to their purpose. Through the above contents, we tried to graphically tell the story of the correct use of braille blocks.









점자 블록은 시각 장애인들이 길을 잘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도와 같은 것이다.

최근 여러 지자체에서는 오직 거리의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바닥에 깔린 점자 블록들을 없애고 있다. 우리의 사소한 불편함을 해결한다는 이유로 시각 장애인들이 혼자서도 충분히 갈 수 있는 길을 ‘낭떠러지’로 바꾸어버린 것이다. 우리들의 이기심으로 인해 시각 장애인들은 안전지대를 잃고 낭떠러지 앞으로 발을 내딛어야 하는 현실의 모습을 그래픽으로 담아내고자 했다.


Braille blocks are like maps that help blind people find their way.

Recently, several local governments are removing braille blocks from the floor only because they harm the 'beauty' of the street. For the reason of resolving our trivial inconveniences, the road that blind people can go alone has been turned into a ‘cliff’. Due to our selfishness, we wanted to graphically capture the reality of visually impaired people having to step forward from a cliff after losing their safety zone.